정의를 요약했습니다. 회색은 중요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급하실 땐 검은색 글자만 읽으시면 됩니다.
녹색은 타이틀, 주황색은 해당 정의나 중요한 포인트입니다.
코스피 = 종합주가지수
KOSPI = Korea Composite Stock Price Index
" 코스피란 증권시장에 상장된 기업의 전체적 주가를 기준시점과 비교하여 나타내는 지표다. "
코스피(종합주가지수)는 주식시장 전체의 움직임을 파악하기 위하여 작성하는 지수로 우리나라 경제상황을 총제적으로 보여주는 지표이다. 따라서 주가지수를 통해 시장전체의 주가 움직임을 측정하는 지표로 이용되며, 투자성과 측정, 다른 금융상품과의 수익률 비교척도, 경제상황 예측지표로도 이용된다.
점차 시장규모가 확대되어 감에 따라 1972년 1월 4일부터는 지수의 채용종목을 늘리고 기준시점을 변경한 한국종합주가지수를 발표하였다. KOSPI 산출은 1980년 1월 4일을 기준시점으로 그 날의 시가총액을 100, 비교시점을 100으로 하여 비교시점의 시가 총액을 지수화한다. KOSPI = (비교시점의 시가총액/기준시점의 시가총액) × 100
[ 매일경제 ]
KOSPI 200
코스피200지수는 한국을 대표하는 200개 기업의 시가총액을 지수화한 것이다.
주가지수 선물거래와 옵션거래를 위해 한국거래소가 발표한다.
유가증권시장의 전종목 가운데 시장 대표성, 유동성, 업종 대표성(9개 업종)을 선정 기준으로 시가총액이 상위군에 속하고 거래량이 많은 종목을 선정한다.
상장종목수의 20%밖에 되지 않으나 전종목 시가총액의 70%를 차지하여 종합주가지수의 움직임과 일치한다. 이들의 시가총액이 1990년 1월3일 기준으로 얼마나 변했는지를 나타내는 것으로 1994년 6월부터 발표하고 있다.
[ 한경 경제용어사전 ]
코스닥
KOSDAQ = Korea Securities Dealers Automated Quotation
" 코스닥위원회가 운영하는 장외거래 주식시장으로서 미국의 나스닥과 유사한 기능을 하는 중소, 벤처기업을 위한 증권시장이다. "
상장기업들의 주식이나 채권을 불특정 다수의 사람들이 사고팔 수 있는 증권거래소와는 달리, 매매를 위한 건물이나 플로어 등이 없이 컴퓨터와 통신망을 이용해 장외거래 주식을 매매하는 전자거래시스템이다.
1996년 7월 1일 코스닥증권이 개설, 단순히 증권거래소 상장을 위한 예비적 단계였던 장외시장이 미국의 나스닥(NASDAQ)과 같이 자금조달시장 및 투자마당으로 독립적인 역할을 수행하게 되었다.
지금까지 장외시장에서의 매매거래는 증권회사의 중개로 영업창구에서 살 사람과 팔 사람이 개별적으로 만나 거래하는 상대매매방식을 취해, 동일 종목이 동일 시간에 거래되더라도 매매가격이 다른 게 보통이었다.
그러나 코스닥은 전자시스템을 이용한 불특정 다수자의 참여라는 경쟁매매방식을 도입, 기존의 장외시장을 새롭게 개편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했다.
즉 상장주식의 거래가 증권거래소에서 이루어진다면 장외등록주식은 코스닥에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코스닥 증권에서 거래되는 주식은 장외거래 대상 종목으로 증권업협회에 등록된 기업으로, 안정성이 높은 금융기관으로부터 성장성이 높은 하이테크 벤처기업까지 약 800여 개 기업들이 있다.
[ 매일경제 ]
코스닥 50
코스닥시장을 대표하는 50개 종목을 대상으로 산출하는 시가총액의 지수로, 파생금융상품의 기초자산으로 활용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기관투자자의 새로운 벤치마크 지수로 활용될 수 있도록 개발된 지수이다.
[ 매일경제 ]
'■ 경제, 시장 공부 > 시사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5 유가증권(화폐증권,자본증권), 출자증권(지분증권), 채무증권, 수익증권은 무엇일까? 요지만 알아보자. (0) | 2020.06.19 |
---|---|
#3 ETF 상장지수펀드 _ '동학개미' ETF에도 몰린다. ETF는 무엇일까? (0) | 2020.04.02 |
#2 CAPEX 자본적지출 (cf. 감가상각비) 이란 무엇일까? (0) | 2020.03.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