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대로 몰라서 찾아서 익힐 것

1. 테이퍼링 : 정부가 통화 유동성을 확대하기 위해 시행하던 양적완화(자산매입) 조치를 점진적으로 축소하는 것을 일컫는 말이다.

초저금리 상태에서 경기부양을 위하여 중앙은행이 정부의 국채나 여타 다양한 금융자산의 매입으로 시장에 유동성을 공급하던 양적완화(QE: Quantitative Easing) 정책을 점차 축소하는 것을 뜻한다. 2013년 5월 22일 벤 버냉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이 청문회에 나와 처음 언급한 용어로, 테이퍼링(Tapering)의 사전적 의미는 '점점 가늘어지다'이다.

2008년 금융위기가 발생하자 Fed는 초저금리를 유지하면서 통화를 풀었는데, 미국의 양적완화 추진 시에는 매달 850억 달러 규모를 시장에 공급하였다. 그러나 테이퍼링의 시작으로 2013년 12월 750억 달러, 2014년 1월 650억 달러로 그 규모가 줄어들었다. 미국이 테이퍼링 정책을 펼치게 된 데는 실업률이 낮아지고 제조업 지표가 개선되는 등 경제가 점차 회복세를 보이는 상황에서 통화를 과도하게 공급할 경우 물가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테이퍼링으로 세계 시장에 나눠져 있던 자금이 미국으로 회수되면서 터키, 아르헨티나 등 신흥국은 투자자금의 급격한 유출로 통화가치가 급락하면서 위기를 겪었다. 
[네이버 지식백과] 테이퍼링 (시사상식사전, pmg 지식엔진연구소)

2. 유가 종류 : WTI, 브렌드유, 두바이유

WTI : WTI는 미국 서부 텍사스와 오클라호마주 일대에서 생산되며, 대표적인 중,경질유이자 저유황유이다. 일반적으로, 생산비가 높지만 품질이 좋아 국제 원유시장에서 가장 높은 가격을 형성한다. 미국 내에서 주로 현물 거래나 선물 거래로만 이루어질 뿐, 국제 시장으로는 반출되지 않는다. 그러나 세계 최대 선물 거래소인 뉴욕상품거래소에 상장된 중심 유종이기 때문에, 세계 3대 유종 가운데 국제유가를 결정하는 가격지표로 활용된다.

브렌드유 : Brent Oil 브렌트유는 유럽과 아프리카 지역에서 거래되는 원유 가격을 결정하는 기준 원유이다. WTI보다는 원유의 품질을 결정하는 API가 낮고 유황 성분이 WTI 보다는 많아 보통 2~3달러 가격이 낮게 형성된다. 거래는 런던의 국제석유거래소IPE 에서 주로 선물로 이루어진다.

두바이유 : 두바이유는 중동 지역을 대표하는 기준 유종이며, 중동권과 싱가포르에서 현물로만 거래된다. 유황 함량이 많고 질이 떨어져 세 원유중 가격이 가장 낮게 형성된다. 사우디아라비아, 쿠웨이트, 이란, 이라크 등 중동 국가 원유 가격은 두바이유의 가격에 따라 움직이며, 우리나라의 경우 원유의 약 80%를 중동 지역에서 수입하기 때문에 두바이유의 가격이 국내 경제에 미치는 영향력은 크다. 덧붙여, 중동 지역은 정치, 외교, 종교적 갈등이 끊이지 않아, 국제 원유가격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가격, 배럴당 가격 지표 보는 방법,

읽어볼 블로그 글 : https://hunter-trader.tistory.com/97?category=965636 

WTI 1년치


3. 달러 인덱스 , 달러 인덱스가 높다는 뜻은 무엇일까?

https://www.investing.com/currencies/us-dollar-index

 

US Dollar Index (USDX) - Investing.com

Our interactive US Dollar Index (USDX) chart shows you the live price of the US Dollar index as well as the top analysis, news, historical data and more.

www.investing.com


4. 기저효과 : 경제지표를 평가하는 과정에서 기준시점과 비교시점의 상대적인 수치에 따라 그 결과에 큰 차이가 나타나는 현상경제지표를 평가하는 과정에서 기준시점과 비교시점의 상대적인 수치에 따라 그 결과에 큰 차이가 나타나는 현상

경제지표를 평가하는 과정에서 기준시점과 비교시점의 상대적인 수치에 따라 그 결과에 큰 차이가 나타나는 현상경제지표를 평가하는 과정에서 기준시점과 비교시점의 상대적인 수치에 따라 그 결과에 큰 차이가 나타나는 현상. 호황기의 경제상황을 기준시점으로 현재의 경제상황을 비교할 경우, 경제지표는 실제 상황보다 위축된 모습을 보인다. 반면, 불황기의 경제상황을 기준시점으로 비교하면, 경제지표가 실제보다 부풀려져 나타날 수 있다.-예컨대 2009년 12월의 산업생산 증가율이 전년 동월 대비로 10년 만에 최고라고 발표되었다. 그렇지만 2009년 12월 결과를 증가율로 산출하기 위해서는 기준시점인 전년 동월 즉, 2008년 12월을 이용해야 한다. 그런데 이 시기는 세계 경제가 금융위기로 침체에 들어간 때이다. 따라서 이 시점을 비교의 기준 시점으로 삼을 경우, 기저효과에 의해 산업 생산 증가율이 매우 높아지는 결과가 되는 것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기저효과 (시사경제용어사전, 2017. 11., 기획재정부)

cf. 삼프로 오건영 중: 시간이 지나감에 따라 전년대비 효과가 감소한다. 

+ Recent posts